관련 수업 정리 자료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D2 #수업정리, Pricing & PMF & PDC
Pricing (가격정책) 가격 책정, 가격 전략, 소비자가 느끼는 제품의 가치로도 불리는 Pricing을 결정할 때엔 BM을 설정할 때와 유사한 개념으로 접근 가능하다. 적은 고객에게 돈을 많이 받는 고가 전
hajae-elog.tistory.com
과제)
이 기업은 PMF를 찾았는가?
이번 과제는 평소에 관심을 가지거나 자주 사용하던 제품/서비스를 선정하여 리서치한 후, 아래 질문에 대한 답을 포함하여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다. 오늘은 우피(oopy) 서비스를 분석하고자 한다. 노션을 자주 활용하는 분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특정 노션 페이지를 홈페이지 도메인으로 연결하고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최근 노션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배포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고, 내 또한 그렇게 사용하고 있어서 이번 기회에 분석하고자 한다.
Q) 고객의 문제를 기존과 다르게 어떻게 새롭게 정의했는가
노션은 2020년 8월 11일, 한국어 버전을 정식 출시했다. 영어가 아닌 외국어 버전을 정식 출시하는 것은 한국이 처음이라고 하는데, 한국 시장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이며 20년에 263%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전 세계 400만 명 이상 사용하고 있는 노션은 업무에 필요한 도구를 단일 작업 공간에 통합한 올인원 생산성 앱이라는 특징으로, 2021년 12월 기준 국내 스타트업들이 선호하는 협업 툴 4위에 올랐다. 국내 스타트업은 물론,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공부나 프로젝트, 다이어리 등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노션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하면 코딩 없이 누구나 간단하게 본인만의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맞춤화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간단한 웹페이지를 만드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로 인해 코딩 없이 웹페이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웹빌더 플랫폼으로도 볼 수 있다. 미국의 웹빌더 시장은 연평균 7.7%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는 전체 시장규모가 매출액 109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당시에 예상하고 있었다. 이렇게 성장할 수 있던 이유는 웹 개발자에게 비싼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간편하게 자신의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소규모 비즈니스나 개인 사업자가 웹빌더 서비스를 찾는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또한 마찬가지인 상태에서 우피는 노션을 웹빌더 도구로 생각하고 손쉽게 도매인을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로 새롭게 정의했다고 볼 수 있다.
Q) 기존에 존재하던 해결방식을 새로운 기술과 방식을 통해서 어떻게 해결하는가
대표적인 웹빌더 서비스로는 미국의 워드프레스, 이스라엘의 윅스, 우리나라의 크리에이터링크가 있다. 이러한 웹빌더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마음에 드는 템플릿을 선택하면 콘텐츠 블록을 옮기거나 간단히 코드를 작성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수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노션에 비해 레이아웃 수정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불편하고,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우피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노션에 도매인을 연결하는 간단한 원리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레이아웃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는 노션의 장점을 살리면서 간단한 웹사이트 형식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과 개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Q) 여기서 고객이 사랑할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충분한 고객가치를 만들어내는가
사실 노션의 'Share to Web' 기능으로도 간단한 웹페이지로 만들 수 있다. 그럼에도 우피는 기본적인 노션의 기능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기능들도 많다. 페이지 내 이미지나 특정 카드를 누르면 연결된 URL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나 여러 이미지들을 모아 슬라이드 형식으로 표시하는 기능, 노션 링크를 클린 URL로 변경하는 등 노션 페이지를 보다 웹페이지처럼 보일 수 있는 자체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HTML 코드를 직접 작성해 다양한 효과까지 넣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한 고객 가치를 만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Q) 기업은 해당 고객을 통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해내고 있는가 (BM & Pricing)
우피는 현재 구독료 BM 체계를 가지고 있다. 기존에는 5,900원 단일 요금제로만 진행했지만, 기능이 점차 많아지고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2022년 2월 1일 기준으로 프로 플랜을 추가했고, 현재는 5,900원과 9,900원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베이직과 프로의 차이는 제공 기능의 차이를 두고 있다. 그리고 2개 이상 도메인을 사용 시 두 번째 도메인부터 3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며, 연 결제 할인 및 추천인 코드 할인 프로모션 등 다양한 가격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근데 우피 요금제가 마냥 싼 편이라고는 할 수 없다. 대표적인 국내 호스팅 업체인 cafe24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비용만 봐도 쉽게 비교할 수 있듯이, 대부분 연 22,000원이다. 단순 계산만 해도 월 1,833원 정도며, oopy의 약 1/3 가격이다.
Q) 해결책을 좋아할 수 밖에 없는 고객이 얼마나 많은가
그럼에도 노션 + 우피 조합으로 사용하는 기업과 개인 사용자가 많다. 스스로가 웹 개발을 할 수 있다고 하면 도메인을 사서 직접 개발하는 게 훨씬 이득이긴 하지만, 대부분은 스스로 개발하지 못한다. 특히, 매년 130만 개 중소기업이 창업하는데 자체 홈페이지가 있는 곳은 28%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중 절반은 홈페이지를 만들고 싶어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웹빌더 서비스를 찾을 수밖에 없고, 쉽게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는 노션을 자연스레 찾게 된다.
Q) 이 모든 것들을 해내는 데 있어서 다른 경쟁자들이 쉽게 카피할 수 없는 차별적인 경쟁우위가 있는가
현재 oopy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호스팅 업체는 없다. 하지만 단순 호스팅 업체는 많다. 국내에선 대표적으로 가비아와 cafe24가 있다. 그래서 노션의 'Share to Web' 기능으로 생성된 URL를 호스팅 업체에서 구매한 도메인으로 포워딩하면 되지 않냐는 일부 개발자들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노션의 기능만 사용할 수 있으며, oopy에서 지원하는 여러 기능들과 플러그인은 사용하지 못한다. 구글 애널리틱스나 채널톡 등 생각보다 괜찮은 플러그인을 oopy에서 지원한다. 아마 이런 것들로 인해 금액이 3배 이상 차이가 나는가 싶다.
Q) 결국 해당 서비스는 과연 PMF를 찾았는가
내 생각에는 PMF를 찾았다고 생각한다. 이미 우피는 J 커브의 네 번째 단계인 'Model' 단계에서 5,900원의 구독료 BM을 설계했고, 잘 팔리니까 요금제를 2개로 나눴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이미 PMF를 찾았다고 할 수 있으며, 더 완벽한 PMF를 찾기 위해 여러 기능들을 추가하고 요금제를 나누면서 고객 가치를 제공하는 중이다.
참고문헌
1분 만에 만드는 노션 웹사이트, 우피!
우피는 노션 페이지를 최적화된 웹사이트로 바꿔드립니다. 원하는 주소를 연결하여 나만의 홈페이지를 시작해 보세요.
www.oopy.io
협업·생산성 앱 '노션' 국내 상륙… "韓 시장, 1년새 263% 증가"
협업·생산성 앱 노션 국내 상륙 韓 시장, 1년새 263% 증가
biz.chosun.com
KOTRA 해외시장뉴스
메인
dream.kotra.or.kr
초보도 쉽게 홈피 제작…쑥쑥 크는 웹빌더 시장
◆ 웹빌더 홈페이지 시대 ◆ 코딩을 몰라도 웹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웹 사이트나 쇼핑몰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솔루션인 이른바 `웹빌더`다. 비용이 적게 들고 단말기 종류와
www.mk.co.kr
'_WORKING > CODE STATES PM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D3 #W3D4 #과제, 강남언니의 KPI는 무엇일까 (0) | 2022.03.30 |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D3 #수업정리, KPI & Metric (0) | 2022.03.30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D2 #수업정리, Pricing & PMF & PDC (0) | 2022.03.29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D1 #과제, 리멤버의 BM은 어떻게 생겼을까 (0) | 2022.03.28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D1 #수업정리, BM과 User Acquisiton (0) | 2022.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