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WORKING/CODE STATES PMB 29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회고록, 안녕히계세요 여러분

서론 조기 취업으로 인한 중도 하차 한동안 블로그에 코드스테이츠 관련 글을 올리지 않았다. 운영진과 협의하여 W4까지만 수업을 듣고 중도 하차를 했기 때문이다. 중도 하차 사유는 여러 가지 있지만 난 그중 '조기 취업'으로 인한 중도 하차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2곳에서 최종 합격 연락이 왔다. 이전 회사를 올해 1월 초에 퇴사하고 바로 취업 준비를 했고, 그 과정에서 코드스테이츠 수업을 들었다. 물론, 수업을 들으면서도 취업 준비는 계속했다. 코드스테이츠 수업과 과제를 하면서 취준을 병행하니까 진짜 죽을 맛이었는데, 결국 이 수업도 취업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쉬는 시간 쪼개면서 했다. 그래서인지 이렇게 좋은 결과가 나온 것 같다. 간단히 회고하면 1 ~ 2월에 9곳을 지원했고 서류 탈락 8곳, 과제..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4 #과제, 카카오지하철 앱을 Figma로 Wireframe 만들어보기

과제) Figma를 활용해 Wireframe 만들어 보기 이번 과제는 앱 서비스 하나를 선택해, 해당 앱의 Task를 1가지 선정하여 해당 Task가 사용자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지 정의하고 이에 대한 User Story를 작성하는 과제다. 그리고 이 User Story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능과 Flow를 파악하고, Figma로 Mid-Fi Prototype를 만드는 것 까지다. 오늘 내가 할 앱 서비스는 '카카오 지하철'이다. 이전에도 카카오 관련 서비스를 많이 했는데 이 정도면 카카오는 내를 뽑아줘야 한다. 무튼, 카카오 지하철을 선정한 이유는 그저 내가 너무 잘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해 보여서다. 카카오 지하철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Task 대중들은 출발지..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3 #과제, 내 맘대로 CJ ONE UX 개선 분석하기

관련 수업 정리 자료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3 #수업정리, Wireframe & Prototype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화면 설계서, 화면 청사진이라고 불리는 와이어프레임은 실제 GUI디자인이 입혀지기 전, 페이지의 골격을 확인하기 위해 만드는 시각적 산출물을 뜻한다. 앱이나 웹 등 IT hajae-elog.tistory.com 과제) 선정한 앱 또는 웹 서비스에 개선이 필요한 UX를 분석하고 페이퍼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보세요. 이번 과제는 앱 또는 웹 서비스 1개를 선택해 해당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Flow에서 UX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서비스 이용자 관점에서 정의 및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UI를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해 페이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과제다..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3 #수업정리, Wireframe & Prototype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화면 설계서, 화면 청사진이라고 불리는 와이어프레임은 실제 GUI디자인이 입혀지기 전, 페이지의 골격을 확인하기 위해 만드는 시각적 산출물을 뜻한다. 앱이나 웹 등 IT 프로덕트를 개발할 때 필수적이며, 대부분의 스타트업에서는 Figma를 많이 사용한다. 와이어프레임은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의 기능 및 화면의 초안을 PM 또는 기획자가 만들어야 커뮤니케이션이 수월하며, 텍스트로 전달될 시 커뮤니케이션 오류와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미지와 혼용해서 작성한다. 와이어프레임을 만드는 이유는 앱 또는 웹의 전체 서비스를 명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돕고 팀 구성원에게 개발하려는 프로덕트가 어떻게 동작하고 어떻게 인터렉션 하는지 예측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발..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2 #과제, UX 심리학으로 바라본 스타벅스 앱

관련 수업 정리 자료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2 #수업정리, UX의 심리학 UX의 심리학 UI&UX 설계를 함에 있어서 단순히 예쁘면 안 된다. 포장지만 예뻐봤자 사용성이 좋지 않으면 결국 고객에게 선택받지 못한다. 결국 사용자의 행동 방식이나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인터 hajae-elog.tistory.com 과제) 오늘 배운 10가지 심리학 법칙 중 최소 6개 이상을 적용해 앱 서비스 1개를 분석해 보세요. 이번 과제는 앱 서비스를 하나 선정해서 오늘 배운 10가지 심리학 법칙을 활용해 분석하는 것이다. 과제를 하면서 앱 서비스의 기능들을 심리학 법칙과 연계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심리학 법칙을 통해 어떻게 불편 요소를 해소했는지 진행하고자 한다. 그래서 선정한 앱은 '스타벅스'다. 스타벅스..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2 #수업정리, UX의 심리학

UX의 심리학 UI&UX 설계를 함에 있어서 단순히 예쁘면 안 된다. 포장지만 예뻐봤자 사용성이 좋지 않으면 결국 고객에게 선택받지 못한다. 결국 사용자의 행동 방식이나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인터렉션 하는 방식이 중요한데, 이 과정에서 작용하는 심리학을 오늘 다룰 예정이다. 수업에서는 Laws of UX 책을 참고해서 10가지를 설명하고 있다. UX의 심리학 : 1. 제이콥의 법칙 → 사용자는 여러 사이트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우리의 사이트도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다른 사이트들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길 원한다 2. 피츠의 법칙 → 대상에 도달하는 시간은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기가 클수록 빨라진다 3. 힉의 법칙 →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은 선택지의 개수와 복잡성과 비례해 늘어난다 4. 밀러의 ..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1 #과제, 토스가 추구하는 UX 방향성

관련 수업 정리 자료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1 #수업정리, UX & UI & Microcopy UI & UX & GUI 과거 디자이너의 사유물이라고 생각했던 UI & UX가 최근 들어 디자이너를 넘어 서비스 기획, PM, PO 등 기획 업무에도 자연스레 들어왔고, 꽤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영역이 되었다. 이 hajae-elog.tistory.com 과제)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통해 좋은 UX와 아쉬운 UX는 무엇인지 파악하고, 해당 서비스에서 주요하게 설계한 UX가 무엇인지 고민해보기 토스가 처음 출시했을 때, 간편 송금 덕분에 매일 사용했다. 심지어 더치페이를 할 때에도 친구한테 '토스할게!'라고 할 정도로 각인이 잘 되었다. 하지만 카카오페이가 등장하고 난 후부터는 자연스레 사용하..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4D1 #수업정리, UX & UI & Microcopy

UI & UX & GUI 과거 디자이너의 사유물이라고 생각했던 UI & UX가 최근 들어 디자이너를 넘어 서비스 기획, PM, PO 등 기획 업무에도 자연스레 들어왔고, 꽤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영역이 되었다. 이렇게 되면 기획자들이 디자이너의 밥그릇을 뺏는 것이 아니냐는 소리가 나올 수 있지만 아무리 기획자가 UI & UX를 안다고 해도 디자이너를 따라가질 못한다. 오히려 디자이너들의 곡소리가 더 커졌다. 디자인뿐만 아니라 기획 업무까지 같이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UI, UX 이런 용어가 자주 나오는데 뭔지는 알아야 하지 않겠나 싶어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 UX, User eXperience :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총체적 경험 PM..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eekly_1, 토스의 Design Thinking

서론 이번 게시물은 Weekly 과제다. 기존의 Daily 과제와 달리 주 1회씩 진행하는 과제인데, 2주 차부터 진행되었다. 근데 이번 주는 3주 차이고, 저번 주에 서류 및 면접 준비를 한다고 이번 주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Weekly 과제는 앞으로 내가 가고 싶은, 그리고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프로덕트 하나를 선택해 다양한 주제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과제다. 2주 차부터 8주 차까지 총 7주간 진행되며, 이는 9주 차부터 하는 실무 프로젝트 시작 이전에 트레이닝을 스스로 해보는 작업이라고 한다. 금융의 모든 것, 토스 나는 7주간 분석할 프로덕트를 토스로 선정했다. 예전에 들었던 창업 특강에서 이런 얘기를 들었다.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대중들의 습관을 바꿔야 한다고. 여러 습관을 바꾼 기업 중 토..

[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D4 #수업정리, OKR(Objective & Key Results)

ORK, Objective & Key Results OKR은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로, 조직적 차원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다. 이 프레임워크를 구글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고 하는데, OKR의 대표적인 이점은 집중(Focus), 전사적 목표와 팀의 정렬 및 연결(Alignment), 그리고 도전적 목표(Stretch)다. 집중(Focus) → 시시각각 변동되고 생겨나는 업무들 속에서 OKR은 진정으로 중요한 핵심 업무가 무엇인지 우선순위를 정해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 → 이 과정을 통해 '하지 않을 것'을 정의할 수 있고, 한정된 리소스로 업무를 해내야 하는 환경에서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정의하고, '해야 할 일'에 온 힘을 쏟도록 함 전사적 ..

728x90